전체 글724 수의 체계 자연수 : 자연수 정수 : 자연수, 0, 음의정수 유리수 : 정수, 정수가 아닌 유리수(유한소수, 순환소수) 실수 : 유리수, 무리수 허수 : 순허수, 순허수가 아닌 허수 복소수 : 실수, 허수 2024. 1. 12. 등차수열 연속하는 두 수의 차이가 일정한 것을 말하며 이것을 수열이라고 한다. 두 수의 차이를 공차라고 한다. 2,4,6,8 … 등과 같은 수열이 이에 속한다. 수열의 첫항을 a1 공차를 r이라고 하면 등차수열의 n번째 항은 an=a1+(n-1)×r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첫항부터 n번째항까지의 합 Sn은 다음과 같다. Sn = {n×(a1+an)}/2 = {n(2×a1+(n-1)×r}/2 2024. 1. 12. 노르웨이 수학자 아벨을 소개합니다. 니엘스 헨릭 아벨(Niels Henrik Abel)은 노르웨이 수학자입니다. 아벨은 어릴때 노르웨이 예르스타드(Gjerstad) 마을에서 살았다. 1824년 5차이상의 방정식은 인수분해가 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를 구할수 없다라는 내용을 아벨이 증명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LJWCfxwiNNs 2024. 1. 12. 수학에서 1˚ = 1 을 문제 풀이로 증명했습니다. In mathematics, 1˚ = 1 was proven by solving a problem. 수학에서 1˚ = 1 을 문제 풀이로 증명했습니다. 数学では、問題を解くことで 1˚ = 1 が証明されました。 在数学中,1° = 1 是通过解决问题来证明的。 Στα μαθηματικά, το 1˚ = 1 αποδείχτηκε με την επίλυση ενός προβλήματος. В математике 1˚ = 1 было доказано решением задачи. En matemáticas, 1˚ = 1 se demostró resolviendo un problema. https://www.youtube.com/watch?v=b52rdb8-9j0 https://www.youtube.com/watch?v.. 2024. 1. 12. 이전 1 ··· 22 23 24 25 다음 반응형